-
전남일보 전남, 의대 2곳 신설... 순천·목포 갈등 해법 찾나뉴스 2020. 7. 24. 17:45
전남권 의과대학 설립을 위한 범도민 유치위원회가 25일 출범했다.이날 전남여성가족재단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한상원·마삼석 의과대학 설립 민간유치 공동위원장과 김영록 전남도지사, 이용재 전남도의회 의장, 전경선 전남도의회 보건복지환경위원장, 각 시민·사회단체 및 대학교수 등 150여명이 참석해 성황리에 진행됐다.전남도 제공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연간 400명씩, 향후 10년간 의료 인력을 4000명 늘릴 계획을 세운 가운데, 전남은 의료 불균형과 의대 유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해법으로 동부권과 서부권에 각각 1곳씩 의과대학을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22일 더불어민주당 서동용 의원이 교육부 등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17개 광역시도(세종시 제외) 중 의과대학이 유일하게 없는 지역은 전남 한곳 뿐이다. 15개 시도 중에 인구와 지역 면적이 작은 울산과 제주에 의대가 1곳씩 있고, 나머지 시도는 2개 이상이다.
서울이 8개교에 826명의 정원으로 가장 많고, 경남이 3개 대학 294명, 강원은 4개 대학 267명이다. 전국의 의과대학은 40개교로, 정원은 총 3058명이다. 이에 따라 전남은 그동안 순천과 목포지역을 중심으로 순천대와 목포대에 의대를 신설해줄 것을 지속적으로 정부에 요구해 왔다.
그러나 어느 지역에 의대를 신설할 것인가를 두고 목포지역과 순천지역간에 유치갈등이 계속되고 있고, 대한의사협회 등이 의대 정원 확충에 반대해 의대 설립이 제대로 논의되지 못했다.
정부가 이번에 코로나 위기로 의대 정원 확대를 사실상 확정 지으면서 전남지역 의대 신설도 가시화하고 있다.
현재 전남은 순천과 목포에서 의대 유치를 바라고 있다. 지역 정치권에선 정부가 전남지역에 의대 정원을 정해주면, 두 지역이 나눠 의대를 신설하는 방안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의견이 많다.
전국 40개 의과대학 중 정원이 40명인 대학은 의전원을 포함해 10개 대학에 달한다. 49명의 정원으로 운영되는 대학도 7개에 이른다. 전체 의과대학의 절반 가까이가 정원 50명 미만이다. 이는 40~49명의 정원으로도 의과대학 운영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전남에 100명의 의대 정원이 주어진다면, 50명 정원으로 전남 동부권과 서부권에 의대를 신설할 수 있다는 의미다.
향후 전남지역 의대 정원을 늘리기 위해서라도 두 곳의 의대 신설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논거도 있다.
인구 183만여명인 전북도는 원광대와 전북대를 합쳐 의대 정원이 235명이다. 인구 10만 명당 의대 정원은 12.81명(서남대 정원 49명 포함)이다. 인구 145만 명의 광주는 10만명당 17.13명이 의대 정원이다.
하지만 전남은 인구수 187만8904명 기준, 10만 명당 의대 정원은 4.26명(의대별 정원 40명, 지역 총 정원 80명 확보), 5.22명(정원 49명 기준, 지역 총 정원 98명 확보)에 불과하다. 의료인 수가 타 시도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만큼, 두 곳에 의대를 설립해 의사 인력을 확보하고 취약한 의료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특히 의사가 부족한 지역에는 의대가 설립되지 않고 있다. 수도권과 대도시 중심으로 의료 인력이 집중되고, 지방과 중소병원은 의사가 부족한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서울은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3.0명인데 반해, 전남도는 1.64명에 불과하다.
이에 대해, 서 의원은 "전남은 의과대학 및 부속병원이 없어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의료 인력을 안정적으로 충원하기 어렵고, 보건복지부 지정 중증질환 치료 전문병원이 없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의대 신설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목포대 의대 타당성 조사연구'(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년)에 따르면, 전남도는 남녀 기대수명이 80.24세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건강수명은 64.9세로 서울(69.7세)과 4.8세의 차이가 났고, 사망원인은 암(25.4%), 심장 질환(9.9%), 뇌혈관 질환(8.9%), 폐렴(6.2%) 순으로 비감염성 질환이 전체 사망원인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치료 가능 사망률도 지난 2015년 기준 78.0으로 강원(80.7)과 경북(78.3)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입원 의료 이용 관내 비율(지역 친화도)도 70%로 시도 중 최하위 수준이었다. 이는 보다 좋은 의료서비스를 찾아 인접한 대도시나 수도권으로 주민들이 이탈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서 의원은 "전남지역 의대를 목포나 순천 한 곳으로 한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며 "수십년 동안 소외된 전남의 보건의료 질 향상을 위해 두 곳 모두에 공공의료 인력을 양성하는 의대 설립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23일 국회에서 당정협의를 통해 공공의료인력 확충을 위한 의대정원 확충 및 공공의대 설립 추진방안을 논의한다. 이 자리에서 향후 10년간 중증·필수의료 분야의 지역의사 3000명과 역학조사관·중증외상·소아외과 등 특수 분야 의사 500명, 기초과학 및 제약·바이오 연구인력 500명 등 총 4000명을 양성한다는 '의료인력 확대 방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jnilbo.com/view/media/view?code=2020072218295048808
전남, 의대 2곳 신설… 순천·목포 갈등 해법 찾나
전남권 의과대학 설립을 위한...
www.jnilbo.com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아일보 부산지역 대학들, 2학기 ‘혼합 수업’ 확대한다 (0) 2020.07.24 경향신문 학업 마치고도 직장 못 구한 청년층 166만명 (0) 2020.07.24 충남도민일보 천안시, 지역 내 11개 대학 총장 초청 간담회 (0) 2020.07.24 대전일보 "대전권 대학, 등록금 반환이 대세" (0) 2020.07.24 한겨레 “지역의사·공공의대 대폭 확대를” vs. “건강보험 수가 개편이 우선” (0) 2020.07.24